top of page

영상 기획안 양식, '크리에이티브 브리프' 활용하면 퇴근이 30분 단축?

  • 작성자 사진: 씨네인터뷰
    씨네인터뷰
  • 2024년 8월 12일
  • 3분 분량

최종 수정일: 3일 전


영상 기획안 양식_크리에이티브 브리프

<영상 기획안 양식, '크리에이티브 브리프' 활용하면 퇴근이 30분 단축?>

이런 분들에게 좋아요

  • 영상 기획이 처음이신 분

  • 영상 기획, 효과적으로 진행하고 싶은 분


이런 내용이 있어요

  • 기획의 핵심

  • 크리에이티브 브리프를 작성하는 이유와 방법


 

다시 해 와!


입사 후 처음으로 프로젝트 기획을 맡았습니다.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하니까 젊은 제가 맡아보라는 팀장님에 말이였죠. 수십 가지의 레퍼런스를 조사하고, 며칠간에 걸쳐 기획안을 완성했습니다. 아무리 봐도 빈틈이 없었어죠. 발표 준비까지 완벽했습니다. 발표 당일 미리 삼십분 일찍 가서 발표 준비까지 완벽하게 마쳐놨습니다. 그리고 준비한 그대로 발표를 했습니다. 그리고 말씀해 주신 팀장님에 한 마디… ”OO 씨 내 말은 그게 아니었어요!" 팀장님은 뭐가 이런 식으로 진행하면 안 된다고, 이게 잘못되었고, 저게 잘못되었다고 끊임없이 지적해 주셨어요. 그렇게 제 일주일은 모두 헛수고가 되었습니다.

혹시 이런 경험 없으신가요? 만약 없으시다면 꼭 이 글을 끝까지 읽으셔야 합니다. 곧 당신의 이야기가 될지도 모르니까요.


 

기획…?


(영상에 한정해서 이야기하자면) 기획은 (추상적인 상태의) 아이디어를 (눈으로 보고 들을 수 있게) 감각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드는 일입니다.


영상 제작의 초기 단계에서는 모든 것들이 완벽하게 정해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그저 이쪽 방향으로 갈 것 같다'라는 두루뭉술한 이야기가 대부분이죠. 그렇기 때문에 영상 기획에서 가지는 가장 큰 문제점은 ‘이 사람 생각과 저 사람 생각이 틀릴 수 있다’는 겁니다.


이것을 명확히 이해하지 못한다면 앞선 이야기처럼 ‘분명 이런 의미로 말했을 거야!’ 하면서 혼자 틀린 방향으로 먼 길을 가게 됩니다. 그리고 뒤늦게 그 길은 틀린 길이란 걸 알게 되죠.


그래서 기획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고르라고 한다면 ‘기획의 정렬’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아무리 뛰어난 기획이라도 애초에 고려했던 의도와 맞지 않는다면 하나도 소용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 헛수고를 방지할 수 있을까요?


 

크리에이티브 브리프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대표적인 영상 기획안 양식 ‘크리에이티브 브리프’입니다. 표현에 ‘Brief’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듯이 크리에이티브 브리프는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방향과 윤곽을 글로 적은 간단한 형태의 문서를 말합니다.


글로 적으면서 명확하고 구체적이게 만들고 간단하고 빠르게 만들면서 프로젝트에 참여된 모든 인원들이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방향성을 정렬하는 역할을 해줍니다. 이는 불필요한 프로젝트의 진행을 미연에 방지해 줘서 불확실한 기획의 생산성을 극대화해주는데요.


기획의 가장 큰 적은 ‘완벽함’입니다. 완벽함을 추구하지 말라는 말이 아닙니다. 처음부터 완벽을 추구하다 보면 오히려 완벽과는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기획의 가장 중요한 점은 기획의 정렬입니다.


여러 사람들의 생각이 이것이 맞는지 확인하고, 또 확인하는 작업이 가장 중요하다는 겁니다. 그래서 만들어진 방법론이 바로 크리에이티브 브리프입니다.


작성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인터뷰 영상을 제작하려는 회사 A

(A 회사, 성공사례 B 고객, B 고객의 핵심 문제 C, X 서비스, X 서비스의 USP Y 코칭)

크리에이티브 브리프

정해진 양식은 없지만 앞서 말한 ‘프로젝트의 방향성과 윤곽을 구체적이고 간단하게 적는다’를 놓치지만 않으면 됩니다.


한 부분씩 볼까요?


타이틀 : 영상을 한마디로 이해할 수 있는 문장이면 됩니다.


핵심 문제 : 우리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영상을 제작하는지를 말합니다. 기획이 막힐 때 중요한 가이드가 되어줍니다.


기대 효과 : 이 영상으로 어떤 효과를 기대하나요?


타겟 분석 :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결국 모든 것은 타겟이 어떤 행동을 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타겟의 상황, 감정, 문제점 등에서 기획을 시작해야 합니다. 타겟의 나이대는, 성별은, 직업은, 문제점은 등등 더 자세하고 명확할수록 영상에 어떤 메세지를 담고, 어떤 방식으로 말하고, 어디에다가 말할지 쉽게 정해질 수 있습니다.


레퍼런스 : 열 마디 말보다, 한 번 보는 게 좋습니다. 기획과 가장 흡사하다고 생각되는 메인 레퍼런스를 기준으로 맞지 않는 세세한 부분들을 서브 레퍼런스로 바꾼다는 생각으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차별화 전략 : 경쟁 업체들과의 차별점, 자사에서 진행하던 기존의 마케팅 혹은 영상과의 차별점, 고객이 느끼는 차별점 등 이 프로젝트가 가지고 있는 특별한 점을 적어줍니다. 가장 우선적으로 시간과 비용을 투자할 부분이 될 것입니다.


분량 : 영상의 길이를 말하며, 공개 매체에 따라 여러 개의 분량이 될 수도 있습니다.

공개 매체 : 매체에 따른 영상의 형식을 바꿔야 할 수도 있습니다. (숏츠 1분, 인스타그램의 1:1비율)


담당자 : 프로젝트가 클수록 참여된 인원들이 많습니다. 따라서 커뮤니케이션 미스의 확률도 그만큼 늘어납니다. 참여된 관계자들이 프로젝트의 맥락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자! 어떠신가요? 이제 영상 기획안 양식 작성이 이해가 가시나요?


위의 양식은 영상 기획의 시작 단계에서 활용하고 영상의 형식이나 방향성이 명확해졌으면 그에 맞는 기획을 진행해야 합니다.



더 발전된 기획안이 필요하시다면 전문가와 상의를 하셔서 진행하시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만약,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Comentários


씨네인터뷰 로고 2

상호명 : 씨네인터뷰
​대표이사 : 김익 ㅣ 사업자번호 : 151-45-01119
주소 : 인천 부평구 충선로24번길 20-10
전화 : 010 - 3702 - 0385
​고객문의 : ik.kim.cine@gmail.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