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인터뷰 영상 제작 업체, 더 이상 '영상' 잘 만드는 회사는 안됩니다?

  • 작성자 사진: 씨네인터뷰
    씨네인터뷰
  • 2024년 8월 9일
  • 5분 분량

최종 수정일: 1월 20일


인터뷰 영상제작 업체_기획과 계획

<인터뷰 영상 제작 업체, 더 이상 '영상' 잘 만드는 회사는 안됩니다?>


이런 분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좋은 인터뷰 영상 제작을 위해 ‘영상만’ 잘 만들면 된다고 생각하는 분

  • 영상 업체 선정을 포트폴리오 보고, 가격만 싼 곳으로 선정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분


이런 내용을 알 수 있어요.

  • 현재 영상 제작 방식의 본질적인 문제

  • 좋은 인터뷰 영상은 ‘기획’과 ‘계획’에 있다는 것


 

1. 인터뷰 영상 제작, 과거와 지금의 차이



많은 고객들이 그저 저렴한 영상 제작 업체를 선정한 후 원하지 않는 영상이 나오는 상황, 비용이 자꾸만 증가하는 상황을 경험하고 계신데요.


이 글을 보는 분들께서 이런 상황을 맞이하지 않으시려면, 현재의 문제를 본질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본질적으로 보기 위해서는 영상 제작 전반의 전체적인 흐름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는데요. 그래서 영상 제작의 몇십 년 전으로 돌아가서 그때부터 이야기를 시작해 보려고 합니다.


지금으로부터 몇십 년 전으로 돌아가 볼까요?


그때까지만 해도 영상 제작이란 건 대기업이 만들고 대행사가 조율해 주고 광고 제작 전문 영상 업체가 만들고 TV에나 내보내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영상이 TV에 밖에 쓰일 곳이 없었기 때문이죠.

소비자

중재자

제작자

매체

대기업 or 중견기업

광고대행사

광고 제작사

TV

이게 불과 몇십 년 전의 일입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새로운 매체가 등장합니다. 바로 유튜브라는 곳이죠. 현재 유튜브는 TV라는 매체를 아예 대체해버린 정도의 파급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유튜브로 소비자들이 이동함에 따라 TV 채널들 마저 너도나도 유튜브로 이동하고 있죠.


이런 상황으로 인해 영상 제작의 환경도 많이 바뀌었습니다. 소비자는 기존의 큰 자본을 운용하던 기업에서 1인 기업의 형태에서도 영상을 제작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제작사 역시도 TV CF의 제작 매출은 예전보다 월등히 떨어지기 시작했고, (유튜브에 맞는) 더 저렴한 비용으로 많은 콘텐츠를 제작해야 하는 상황이고요.


이 과정에서 가장 큰 변화를 겪은 역할은 바로 광고대행사입니다. 광고대행사는 클라이언트 측에서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원하는 기대효과를 말하면 그에 맞는 기획앞으로의 계획을 수립해서 광고 제작 전반을 컨트롤하는 역할이었죠.

소비자

제작자

매체

소규모 ~ 대기업

소규모 영상 제작사

유튜브

하지만 제작 환경이 바뀜에 따라 적은 자본으로 유튜브와 같은 채널에 올릴 수 있는 영상을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기획하고 계획하는 역할을 클라이언트 자체적으로 진행하거나 영상 제작사에서 맡아서(혹은 무시하고)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시대의 흐름이 이렇게 가고 있지만 영상 제작사에서 이 흐름을 이해하고 그에 맞게 행동하는 경우는 흔치 않은 상황 같습니다. 현재 네이버에 영상 제작업체만 검색해 봐도 대부분의 영상 제작 회사들은 자신들이 영상을 잘 만드는 회사라고 홍보하고 있으니까요.


사실상 영상을 잘 만드는 기술은 상향 평준화되었습니다. 이 역시 유튜브의 발전으로 정보격차가 많이 해소되었기 때문인데요.


이런 시대적인 상황으로 인해 영상제작자는 기획력이 없이 영상 제작을 해서 클라이언트가 원하지 않는 결과물을 만들고, 제대로 된 계획이 없이 영상 제작만 하니까 비용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죠.


그래서 저는 더 이상 영상만을 잘 만드는 회사는 선정하시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이 글을 보고 계신 실무자님이 이 프로젝트의 기획부터 계획까지 모든 일을 다 하신다면 상관없습니다. 그에 따라 영상 제작 전반에 대해서 공부를 하셔야 하겠지요. 하지만 분명 실무자님은 이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회사의 여러 마케팅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하시는 상황일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영상만을 잘 만드는 회사를 선정하시면 안 된다는 말씀을 드린 겁니다. 


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무엇이었고, 타겟 고객층은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그 문제를 해결할 우리 회사의(클라이언트의 회사) 솔루션을 어떻게 타겟 고객층들에게 설명해 줄지를 꿰뚫어 보는 기획을 하고 제작의 각 단계에서 최대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계획을 할 줄 아는 인터뷰 영상 제작 업체를 선정하셔야 한다는 겁니다.


 

2. 기획과 계획은 무엇인가요?


앞서 영상 제작 과정에서 대행사의 역할이 빠졌다고 했는데, 이 말이 곧 ‘기획과 계획이 필요 없다!’는 말이 절대 아닙니다. 오히려 제일 중요하지만 아무나 잘할 수 있다고 착각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획과 계획이 뭐길래 그렇게 중요하다는 걸까요?


인터뷰 영상 제작은 크게 보면 3단계 작게 보면 총 8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인터뷰 영상제작 업체_과정

2.1 영상 기획이란?

기획은 인터뷰 영상 제작 단계에서 초기 4단계를 말하는데요. 이 과정에서는 크게 두 방향의 일을 하게 됩니다. 먼저 무형의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눈으로 보이고 들을 수 있는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형태로 만드는 일이고요. 다음으로는 이 프로젝트의 기대효과를 위해 잠재 고객들에 관해 분석하고 이해하고 그들에게 어떤 메세지를 어떤 형식으로 보낼지의 일련의 과정들을 준비하는 일을 하게 됩니다.

앞서 언급했던 대행사의 ‘기획자’가 하는 업무이죠.


기획 : 인터뷰 영상 제작의 초기 4단계 - 무형의 추상적인 아이디어 단계를 감각적인 단계로 구체화 - (클라이언트의) 고객을 이해하고 어떤 메세지를 어떤 형식으로 보낼지 정하는 단계

하지만 현재의 대부분의 영상 제작 과정들을 보면 이 기획자의 업무들을 그저 포트폴리오 하나로 끝내버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말하자면 “이 영상 죽이네”, “이것처럼 만들어주세요!” 한다는 겁니다. 분명 그 영상의 타겟 고객층과 그들의 해결책은 다를 텐데도 말이죠.


만약 그저 ‘대표가 시키는 일을 쳐낸다는 마인드의 실무자님’이라면 그렇게 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그저 일을 했다는 게 아니라 ‘남다른 결과를 만들어 내고 싶은 실무자님’이라면 절대 이런 방식으로는 진행하지 않으실 거라 생각됩니다.


그렇다고 앞서 말한 것처럼 실무자님이 영상 제작 과정 전체를 다 공부하시기도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선정하시려는 인터뷰 영상 제작 업체의 기획과 계획 능력을 보시라고 말씀드리는 거지요.


2.2 영상 계획이란?

계획은 기획을 결과로 만들어내기 위해 행동해야 하는 한 단계 한 단계를 계획하는 겁니다. 또한 유기적인 제작 과정을 위해 명확히 정해져야 할 모든 부분들을 정하는 일이기도 하지요.


계획 - 기획을 결과로 만들어내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 정한 TO DO 리스트 - 유기적인 제작 과정을 위해 제작 단계 전 정해져야 할 모든 부분들을 정하는 것

씨네 인터뷰에서는 계획 TO DO 리스트를 노션을 활용해서 하고 있는데요.


인터뷰 영상제작 업체_계획


다음과 같이 시간의 진행에 따라 어떤 업무가 진행될지 명확하게 보입니다. 이것이 ‘계획’의 TO DO 리스트입니다.


그렇다면 인터뷰 영상의 ‘제작’ 단계 전 정해져야 할 부분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요.

🟡 영상의 비주얼 파트 - 질감, 컬러, 로케이션 및 소품, 인터뷰이 의상 및 메이크업, 핵심 분위기 🟡 연출 파트 - 질문 리스트(재배치된), 현장 상주 인원, 촬영 스케줄 🟡 스토리보드 - 스크립트, 카메라 예상 컷, 인서트, 모션 그래픽 등

먼저 영상의 비주얼 파트입니다. 영상의 비주얼 파트는 질감, 컬러, 로케이션 소품 등 영상의 비주얼적인 부분에 영향이 가는 모든 것들을 말합니다. 인터뷰이의 의상과 메이크업도 여기에 포함되죠. 촬영 전에 미리 준비하고 조율해야 할 부분이기 때문에 한 부분, 한 부분을 신중히 검토하고 조율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연출 파트입니다. 연출은 촬영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지만 촬영이 자연스럽게 진행되기 위해 신경 써야 할 모든 것들이라고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질문 리스트를 재배치하고, 현장 상주 인원을 재배치하고, 촬영 스케줄을 짜고, 현장에서 물&음료&다과&식사를 챙기고 심지어는 주차까지 이상이 없을지 신경 써야 합니다. 때문에 현장에 능숙해야 하고 경험이 많을수록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스토리보드입니다. 스토리보드는 영상이 어떤 컷으로 만들어 질지, 어떤 말로 제작될지 문서로 작성한 겁니다.


인터뷰 영상제작 업체_스토리보드

위의 스토리보드는 광고급의 스토리보드인데요. 한 컷의 실수가 어마어마한 시간과 비용이 된다면 이렇게 직접 그려서 한 장면, 한 장면을 만들게 됩니다.


하지만 인터뷰 영상 제작은 위와 같이 제작할 경우 투입 비용 대비 결과가 효율적으로 나오지 않기 때문에 적절히 비슷한 카메라 구도를 캡처해서 사용하고, 스크립트를 위주로 신경 쓰게 되는데요. 세세한 부분은 앞선 비주얼 파트에서 정해졌으니까 가능한 일이죠.


하지만 많이들 빼먹는 부분이 있는데요. 바로 인서트와 모션 그래픽입니다. 인서트를 어떻게 촬영할 건지 모션그래픽을 어디다가 어떤 내용으로 넣을 건지 이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확정해야 합니다. 특히나 모션 그래픽 작업은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이기 때문에 촬영 전부터 기획이 진행되어야 하고 본 편집이 진행되기 전까지 완료되어야 프로젝트가 딜레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 어떠셨나요? 이 글을 보셨다면 인터뷰 영상 업체 선정을 어떻게 해야 할지 감이 조금 잡히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이 밖에도 완전 초기 단계의 기획서를 작성하는 일, 스토리텔링 기법 등 알아야 할 것들이 훨씬 많습니다.



만약 기획, 계획 능력을 제대로 보유한 업체를 찾으신다면 아래 상품 소개를 보시고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Commenti


씨네인터뷰 로고 2

상호명 : 씨네인터뷰
​대표이사 : 김익 ㅣ 사업자번호 : 151-45-01119
주소 : 인천 부평구 충선로24번길 20-10
전화 : 010 - 3702 - 0385
​고객문의 : ik.kim.cine@gmail.com

bottom of page